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트럼프 감세정책 미국 재정적자로 관세전쟁 벌이면서 법인세인하 또하는데 감세해주는 이유가 뭡니까

미국 재정적자로 관세전쟁 벌이면서 법인세인하 또하는데 감세해주는 이유가 뭡니까

1. 이념, 정치적 약속

공화당은 작은 정부-저세율 → 민간투자 확대라는 공급측 경제관을 정체성으로 삼아 왔습니다.

2016년, 2020년, 2024년 세 차례 대선 모두 법인세 추가 인하가 트럼프 진영의 간판 공약이었고,

2025년 7월 4일 통과된 OBBB 역시 이 약속을 재차 확인했습니다.

2. 투자/성장 유인(공급측 논리)

법인세를 35 → 21%(2017) → 제조업체 최대 15%(2025)까지 내리면

순이익률↑ → 설비투자/임금 인상/주가 부양을 통해 GDP가 장기적으로 1.1% 상승할 것이란

시뮬레이션을 제시합니다.

3. 국제 조세 경쟁

OECD 평균 법인세(21% 안팎)보다 높았던 미국 세율을 절반 수준으로 끌어내려

본사, 지식재산 탈미국을 막고, 해외 유보이익(2조 달러 이상 추산)을 세금 할인 조건으로

본국에 환류시키려는 계산입니다.

4. 관세+감세 패키지

관세로 해외 생산 비용을 올려 리쇼어링을 유도하고, 동시에 법인세를 낮춰

국내 생산의 순이익률을 높여주면 기업이 미국에 공장을 돌려오도록 당근+채찍을

동시에 쓰겠다는 전략입니다. 경제학자들은 관세로 인한 비용 상승분을 감세로 상쇄하려는

세후 절충의 성격이 강하다고 분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