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신약개발연구원이 되고싶은데 어떤 학과를 선택해야 할까요 꿈이 신약개발연구원인데 화학과와 약학과 중에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잘

꿈이 신약개발연구원인데 화학과와 약학과 중에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ㅠ약학과를 가는게 더 좋다고 듣긴 했는데 잘 모르겠어서요.. 그리고 신약개발연구원의 취업 전망이 어렵다고 그래서 해외로 나가야 하나 싶기도 한데 사실 국내에 있고 싶어서 미래를 생각한다면 약학과가 맞나 이런 고민이 됩니다 어딜 가야하나요신약개발연구원에 대해서 아시는게 있으면 알려주세요!

✅ 1️⃣ 신약개발연구원의 실제 역할

신약개발은 크게 3단계로 나눠요.

  1. 기초 연구 (물질 탐색, 합성) → 화학과 중심

  2. 전임상/임상시험 (동물·인체 대상 유효성·안전성 검증) → 약학과 중심

  3. 허가·생산·마케팅 (규제과학, 생산기술) → 약학과 + 제약학·경영학 등

즉, 화학과는 신약 후보 물질(신물질) 합성과 원천기술 쪽,

약학과는 약물이 실제로 인체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약리·약물동태학)와 허가 절차 등

더 임상·실무·산업과 가까워요.

✅ 2️⃣ 화학과 vs 약학과, 어떤 게 더 유리할까?

구분

화학과

약학과

연구 영역

신약 후보 물질 합성·화학 분석

신약 후보의 약효·안전성 평가, 임상·규제

장점

기초과학 강점, 합성기술 전문성

임상·제약산업 연계성 높음

취업 폭

연구소/국책연구기관 R&D

제약회사 R&D, 약국, 병원, 규제기관 등

해외 진출

대학원 필수, 화학 기반 신약 합성 연구원으로

임상시험/약물평가 전문 인력으로 수요 많음

난이도

대학원 진학 거의 필수

6년제 + 국가고시 필수, 공부량 많음

결론

✅ 신약개발연구원의 연구 실무 중심이라면 화학과 → 대학원 루트 강추!

산업계 취업, 제약회사 R&D, 임상시험 CRO 등 진출 폭을 넓게 가져가고 싶다면 약학과가 더 유리!

✅ 3️⃣ 국내 취업 전망 & 해외 진출 고민

✔️ 국내에서도 대형 제약사(셀트리온, 한미약품, 대웅제약 등)와 바이오벤처가 성장 중이라, 신약개발 R&D 인력 수요는 꾸준함

✔️ 다만 신약개발은 장기전 + 실패 리스크가 높아 석사·박사 이상이 기본, 취업도 경쟁적임

✔️ 해외로 나가면 미국·유럽 제약·CRO가 훨씬 규모가 커서 커리어에 도움 되지만, 국내에도 바이오클러스터(판교, 송도 등)가 점점 확장 중이라 꼭 해외만 답은 아님

✅ 4️⃣ 실전 추천 루트

연구개발 중심 → 화학과 진학 + 대학원 필수

  • 신약 물질 합성, 구조 분석, 유기합성 스페셜리스트로

  • 박사급으로 제약사/연구소/국책기관 R&D 진출

  • 연구실 인턴·해외연수 적극적으로!

임상·제약사 커리어 중심 → 약학과 진학

  • 국가고시 합격 후 제약사 R&D, 임상개발, 약국 등 커리어 다양

  • 약사 면허는 안정적 수익원 + 연구 커리어 병행 가능

  • 국내 취업도 상대적으로 폭넓음

✅ 최종 선택 가이드

✔️ ‘합성 연구가 재밌고 실험을 좋아한다’ ➜ 화학과 → 대학원 필수

✔️ ‘약물의 사람 몸 작용, 임상, 산업계 취업 안정성’ ➜ 약학과

✔️ ‘국내서 안정적인 커리어, 옵션 다양성’ ➜ 약학과 우세

✔️ ‘연구직만 원한다, 해외 연구소 진출 목표’ ➜ 화학과 + 석·박사

파이팅하세요~

답변채택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