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연금 꼭 내야하나요? 현재 청소년층이 자라면 낼 돈은 많은데 나중에 노년층이 되서 받을

현재 청소년층이 자라면 낼 돈은 많은데 나중에 노년층이 되서 받을 돈은 지금보다 적어지잖아요. 점점 낼 사람은 줄고 받을 사람은 많아지니까. 그냥 안내고 나중에 안받을 순 없나요? 제 지인 중에 (정확히 국민연금인지는 모르겠는데 연금이라고 들은 것 같아요) 자기가 계산해보니까 자기가 내는 것보다 받는 것이 적어서 아예 가입을 안했다는데 가능한가요?? 60대이시고 학원 원장하고 계세요.

좋은 질문이에요!

요즘처럼 연금에 대한 회의감이 커지는 상황에서, 청소년·청년층의 이런 고민은 정말 자연스러운 생각이에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연금을 꼭 내야 하느냐?” 는 본인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

국민연금, 꼭 내야 하나요?

1️⃣ 직장 다니는 경우 → 무조건 가입 대상 (의무가입)

  • 직장가입자는 국민연금이 자동으로 급여에서 공제되며, 회피할 수 없습니다.

  • 이건 법적으로 강제되는 부분이에요.

2️⃣ 자영업자나 프리랜서 → 지역가입자 (선택 아닌 ‘의무’지만 납부 예외 가능)

  • 국민연금 지역가입 대상이라도,

  • 소득이 없거나 납부가 어려운 경우 ‘납부예외 신청’을 통해 일시 중지할 수 있어요.

  • 단, 완전히 가입을 거부하거나 탈퇴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자기가 낸 것보다 덜 받는다? 정말일까?

  • 일부 고소득자의 경우, 실제 낸 보험료 대비 받는 연금액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느껴질 수 있어요.

  • → 국민연금은 ‘사회보험’이라, 어느 정도 소득재분배 기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에게는 내는 돈보다 받는 돈이 더 많습니다.

  • 특히 오래 살수록 이익이에요.

아예 가입을 안 해도 되나요?

  • 법적으로는 특정 조건(소득 無, 외국 체류 등)이 충족되면 납부 안 할 수는 있어요.

  • 하지만 국민연금에 한 번이라도 가입한 이력이 있다면, 60세까지 납부 기회가 계속 생깁니다.

  • 지인분이 연금 가입 안 했다고 하신 건

  • 사업자지만 국민연금 신고를 하지 않았거나

  • 특수 형태의 사적연금(예: 연금보험) 이야기였을 수도 있어요.

✅ 현실적 조언

  • 연금이 완벽한 제도는 아니지만, 고령화 사회에 가장 기본적인 노후 안전망이에요.

  • 국민연금만 믿기 어렵다면, 개인연금, 퇴직연금, 저축 등으로 보완하는 게 현실적인 전략입니다.

  • “안 내고 안 받겠다”는 선택은 제도상 어렵고, 손해일 수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