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점에 대한 규정은 각 대학마다 상이합니다.
일반적으로 A 30%, B 40%, C 40%라 하였을 때,
수강인원이 60명이라면 A를 받기 위해서는 20등 정도 안에는 들어야 합니다.
세부적으로 A 내에서 +, 0, -는 비율이 정해져 있지 않고 교수의 재량인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전체 수강인원의 10%가 안되는 인원이 A+을 받을 수도 있고 30% 내에 들어간 인원 모두가 A+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A 30, B 40, C 40도 최대 한도인 경우가 많아서, 극단적으로는 교수가 A학점을 아무에게도 부여하지 않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받은 학점만을 가지고 등수를 판단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보편적으로 C라면 50등 정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