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미국에 '입국 금지' 당한 국무총리...ㅡ,.ㅡ 헐,,, 이게 말이 되나요? 우리나라와 혈맹인 미국에 우리나라 총리가 못간다는

헐,,, 이게 말이 되나요? 우리나라와 혈맹인 미국에 우리나라 총리가 못간다는 게 말이 되나요?

1. 어떤 전력 때문에 비자가 거부됐나?

  • 김민석 총리 후보자는 1985년 ‘미국 문화원 점거 농성’에 참여해 실형(징역 4년)을 살았고, 국회의원 신분으로 미국을 방문하려 했다가 1998년 비자가 거부된 전례가 있습니다. 미 대사관 측은 바로 그 시위 전력을 근거로 들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 측은 과거 반미 시위·사법처벌 이력 등을 ‘비자 부적격 사유(INA §212)’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2. 그런데 총리가 되면 왜 상황이 달라질까?

구분

일반 방문(B-1/B-2 등)

외교 목적 방문(A-1)

대상

민간 자격·사적 일정

국가元·정부수반 등

심사 기준

INA §212 모든 결격 사유 그대로 적용

결격 사유가 있어도 국무·국토안보장관이 ‘국익’ 판단해 면제(INA §212(d)(3),(d)(8))

실무 관례

비자 거부,재신청,장기 대기 가능

국가 간 외교에 중대해 거의 항상 발급

  • 미 국무부는 “Head of Government(총리급)은 목적과 무관하게 A-1 비자 대상”이라고 명시합니다.

  • A-1 신청자가 과거 전력으로 ‘형식상’ 결격이 있어도, 대개 212(d) waiver를 붙여 발급합니다. → “국가 간 외교‧안보 이익이 개인 전력보다 우선”이라는 판단입니다.

3. 비슷한 해외 사례

  • 나렌드라 모디 : 2005년 美 비자 취소(구자라트 사태). → 2014년 인도 총리 취임 뒤 A-1으로 무사히 방미, 의회 연설.

  • 핵심: 총리 취임과 함께 국익 waiver가 적용돼 기존 금지 조치가 사실상 해제.

4. 결론 – “공식 방미”는 거의 걱정 없지만, 두 가지 변수

  1. 공식, 외교 목적일 때

  • 총리로서 청백관 회담, 유엔 총회, IMF, WB 총회 등 → A-1 비자 + 자동 면책 → 사실상 문제 없음.

  1. 사적 일정(B-1/B-2)으로 갈 때

  • 여행·강연 등 개인 용무라면 예전 전력 심사가 다시 살아납니다.

  • 다만 총리 임기 중엔 대부분의 방문이 ‘공무’로 분류되므로 실무상 큰 제약은 드뭅니다.

  1. 정치·안보 상황

  • 미국이 특정 사건을 “테러리즘‧안보 위협” 범주로 재분류하면 예외 없이 거절될 수 있지만, 40년 전 학생 운동이 그 수준으로 재해석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요약

- 총리 취임 = A-1 비자 대상 → 과거 반미 시위 전력 때문에 겪었던 일반비자(B) 거부 기록과는 별개로, 외교 목적으로는 사실상 자동 승인(필요 시 국무장관 waiver).

- 사적 방문까지 100% 면제되는 것은 아니지만, 재직 중엔 대부분 공무라 실무적인 문제는 거의 없을 전망입니다.

- 최종 결정권은 미국 국무부·국토안보부에 있으므로 “완전 보장”은 아니지만, 관례상 ‘비자 문제로 총리가 방미를 못 한다’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