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행정기관 부서를 하나 만들려면 돈이 많이 드나요? 예를 들어 연애관리부나 저출산관리부.... 후보 부서나 미래 지향 부서같은 경우

예를 들어 연애관리부나 저출산관리부.... 후보 부서나 미래 지향 부서같은 경우 신설하면 돈이 많이 드나요?

"행정기관의 부서를 신설하는 데 실제로 돈이 얼마나 드느냐"는

단순히 사무실 하나 만드는 걸 넘어서 법적·행정적, 예산적 비용이 복합적으로 들어가는 문제입니다.

부서를 하나 신설할 때 실제로 필요한 요소들

항목

설명

1. 인력 확보

과장, 팀장, 주무관 등 최소 4~5인 이상 필요 (공무원 인건비)

2. 조직 승인 절차

정부조직법 개정 또는 대통령령, 부령 개정 필요

3. 사무실/집기 등 운영비

컴퓨터, 책상, 사무공간, 전산시스템, 차량 등

4. 신규 사업비

부서가 실제로 할 일이 있다면 사업 예산도 편성해야 함

5. 정원 조정/기존 부서 개편

조직 내 자리 조정 또는 새로운 정원 확보 필요

실제 예산 소요 예시

  • 중앙부처 내 과(課) 단위 신설 기준

  • 평균 연간 5억 원~15억 원 수준의 예산 필요

  • (인건비 + 관리비 + 사무비 + 초기 사업비 포함)

  • 지방자치단체(시청/군청 등) 내 부서 신설

  • 보통 연간 2억 원~7억 원 정도

  • (신규 공무원 23명 기준, 공간이 이미 확보된 경우)

물론 '이름만 바꾸는 부서 개편'은 비용이 적지만,

완전 신설 + 예산 포함된 기능부서는 정부조직법이나 지자체 조례 개정이 필요하고,

해당 부서가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정책 기반도 마련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보면,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 국가 예산 수천억 원

  • 대통령 직속 위원회로 시작했지만, 이후 독립된 기능과 인력을 갖춘 부서로 운영 중

  • 관련 인력만 수십 명, 예산은 연 수천억 원 수준

‘연애관리부’, ‘미래부서’ 같은 상징적 조직도 가능할까?

가능은 합니다. 단,

  • 실질적 정책 기능보다는 홍보성 조직 또는 TF(태스크포스) 형태로 출발할 수 있어요.

  • 예:

  • 청년정책 TF

  • 인구감소 대응 TF

  • 디지털국가비전팀 등이런 TF나 추진단은 일시적으로 구성 가능하고,

예산도 비교적 적게 들어 (수천만~수억 원 수준) 정부 내부 검토용 부서로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