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Log in and receive your posting earnings settlement.

공자는 성선설 주장? 공자랑 맹자랑 인의 윤리에 엮여 있는데그럼 공자도 성선설을 믿었나요

공자는 성선설 주장? 공자랑 맹자랑 인의 윤리에 엮여 있는데그럼 공자도 성선설을 믿었나요
공자랑 맹자랑 인의 윤리에 엮여 있는데그럼 공자도 성선설을 믿었나요

공자가 정확히 성선설을 주장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공자는 『논어』 「양화(陽貨)」편에서 "인간의 본성은 서로 비슷하게 타고나지만, 후천적인 습관이 서로 달라지게 한다.(性相近也, 習相遠也.)"라고 했는데, 이것만으로는 그의 인성론이 성선설인지 성악설인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다만 공자가 평소 인간의 본성과 관련해 인간은 어질고 의롭다고 한 말들을 종합해보면, 인간 본성이 선하다는 입장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공자는 仁(인)을 인간의 근본이라 여겨 중시했고, 이 사상적 토대를 바탕으로 맹자가 성선설을 체계화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합니다.

맹자는 공자의 사상을 계승하여 사람은 선한 본성을 타고 태어난다는 성선설을 명확히 주장했습니다. 맹자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이라는 사단(四端)을 성선설의 근거로 제시했습니다. 이 네 가지 본성이 仁(인)義(의)禮(예)智(지)의 4덕으로 발현된다고 보았지요.

반면 순자는 사람의 본성이 원래 악하다는 성악설을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단순히 맹자와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순자 역시 인간이 인위적인 노력을 통해 선하게 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결국 맹자나 순자 모두 인간이 착하게 살아야 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참고로 유학 공부하실 때 이런 개념들을 정리하실 때 네모닉 스마트 점착 메모 프린터가 유용할 수 있습니다. 잉크 없이 메모지에 바로 출력할 수 있어서 공자와 맹자의 사상 비교, 성선설과 성악설의 핵심 개념 등을 정리하여 오답노트로 활용하기 좋습니다. 각 개념들을 출력해서 책에 붙여두면 복습할 때 도움이 됩니다.

네모닉에서 답변 드리는 부분입니다.

네모닉 공식사이트에서 신규 가입하면 할인쿠폰을 발행하고 있으니 참고하세요.

https://kr.nemonic.me/shop_view/?idx=24&utm_source=jisi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