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고시원 환불 입실하기 2주전에 전화로 예약하고 월세 36만원에 청소비선불2만원 키보증금2만원 입금했습니다.그리고 입실

입실하기 2주전에 전화로 예약하고 월세 36만원에 청소비선불2만원 키보증금2만원 입금했습니다.그리고 입실 전에 예약 취소해달라고 했는데 돈을 돌려줄 수 없다고 하네요입금하고나서 사장님이 계약서를 문자로 보냈는데, 제가 서명하지도 않았는데 효력이 있는 건가요?환불에 대해서 돈을 돌려주지 않는다는 말을 사전에 하지도 않았고 계약서에도 입실 전 계약 해제에 관한 사항이 적혀있지 않습니다.(계약서에는 입실 후 중도퇴실시에 대해서만 명시되어있습니다)입실전에 10% 정도의 계약금이 아니라 월세 전체를 보낸 상황이고 보증금, 관리비가 없습니다.돈을 돌려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상황이라면 충분히 억울하실 수 있겠습니다. 특히 입실 전이고 계약서에 ‘입실 전 취소 시 환불 불가’라는 조항이 없는데 전액을 돌려주지 않는다고 하는 건 법적으로 다툼의 여지가 있습니다.

먼저, 계약의 효력부터 살펴보면 민법 제528조에 따라 계약은 반드시 서명해야만 성립하는 것이 아니라, 청약과 승낙이 합치하면 구두나 문자 등으로도 유효하게 성립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이 전화 예약 후 입금하고, 사장님이 계약서를 발송한 시점에서 ‘계약 체결’로 인정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중요한 점은 계약 내용에 ‘입실 전 취소 시 환불 불가’ 조항이 없다는 것입니다.

민법 제565조(해약금)에 따르면 계약금은 특별한 약정이 없으면 계약 당사자 일방이 이행에 착수하기 전까지 계약을 해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계약금을 반환해야 합니다. 즉, ‘입실 전’이라면 사업자가 이미 약정한 해약금이나 손해배상액을 초과해 돈을 보유할 수 없습니다.

또한, 대법원 2005다19136 판결에서도 “계약 해제 시 위약금이나 손해배상 약정이 없는 경우, 받은 돈은 부당이득으로 반환해야 한다”라고 판시한 바 있습니다.

이 경우 월세 전액(36만 원)과 선불 청소비(2만 원), 키 보증금(2만 원) 중 실질적으로 이미 사용된 비용이 없거나 사업자가 손해를 입증하지 못하면 대부분 반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청소비와 키 보증금도 아직 입실 전이라면 사용 사실이 없으므로 돌려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우선 내용증명으로 환불을 요구하시고, 7일 이내 응답이 없거나 거부 시 소액사건심판(민사소송, 청구금액 3천만 원 이하)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환불 불가라는 사전 안내가 없었다는 점, 계약서에도 관련 조항이 없다는 점, 입실 전이라 실제 사용이나 손해가 없었다는 점을 명확히 주장하셔야 합니다.

주의할 점은, 사장님이 “청소 준비나 방 비워둔 기회손실이 있다”라는 이유로 일부 금액을 떼고 주겠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손해배상액이 합리적 범위인지 다툴 수 있지만, 이를 무시하고 그냥 ‘전액 환불’만 주장하면 협의나 소송에서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