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을 돕는 전문 컨설팅 업체 '정책자금연구소 바름' 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A : 증가율은 양수(+)와 음수(-) 모두 가능합니다. '증가율'이라는 용어 자체는 변화율을 의미하므로, 값이 감소했을 경우엔 음의 증가율이 됩니다. 따라서 질문하신 예시 문제에서 '가장 작은' 증가율을 찾을 때는 음의 증가율까지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br>
증가율 계산 및 해석
증가율은 다음의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증가율=과거 값현재 값−과거 값×100%
이 공식을 예시 문제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017년: (346−288)/288times100
2018년: (256−346)/346times100
2019년: (432−256)/256times100
계산 결과, 2018년의 증가율은 약 -26.0%로, 세 연도 중 가장 작은 값을 가집니다. 따라서 문제의 정답은 2018년입니다.
<br>
자료해석 문제의 일반적인 관례
대부분의 자료해석 시험(PSAT, NCS 등)에서 '증가율'은 '변화율'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즉, 음의 증가율도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만약 **'증가한 경우만'**을 따져야 한다면, 문제에서 **"증가율이 양수인 연도 중 가장 작은 연도"**와 같이 명확하게 조건을 제시했을 것입니다. 별다른 전제 조건이 없다면 음의 증가율을 포함하여 가장 작은 값을 찾으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드리는 말씀"
2025년 정책자금예산은 30조이지만, 많은 대표님들이 몰라서 못받고 계십니다. 정책자금 컨설팅 및 진단이 필요하시다면 프로필 혹은 네이버에 정책자금연구소 바름이라고 검색해주세요. 최저 2% 최대 100억까지 가능한 정책자금, 대표님들에게 맞는 최적화 자금을 찾아 처음부터 끝까지 도와드리겠습니다.
* 채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피빈 콩은 모두 이웃을 위해 기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