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일반계좌로 국내상장해외ETF 거래시 무지하게 일반계좌로 국내상장미국ETF 샀는데 현재수익중입니다. 재매수는 안하고 원금은 유지하면서 수익금을

무지하게 일반계좌로 국내상장미국ETF 샀는데 현재수익중입니다. 재매수는 안하고 원금은 유지하면서 수익금을 용돈 정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15.4%의 세금을 떼고도 수익이라 생활비로 좋다고 생각하는데 (이미 5백 정도는 썼네요) 이거저거 알아보다보니 이런경우는 바보라는 코멘트까지 있더라고요 ㅋㅋㅋㅋ 전혀모르는 바보..ISA로 3년정도는 그냥 묵혀볼까 요새 고민중입니다. 개인마다 목적이 다르지만 이런경우 어떻게 결정짓는 것이 좋은지 의견 묻습니다.

실제로 투자를 해놓고 수익이 잘 나서 생활비로 쓰는 건 절대 바보가 아니에요. 다만 세제 혜택을 조금 더 잘 활용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질문자님의 상황을 기준으로 일반계좌 vs ISA를 비교해서 방향을 잡아드릴게요.

1. 일반계좌에서 국내상장 해외ETF 거래 시 세금

  • 과세 방식: 배당소득세 15.4% (원천징수)

  • 국내 상장 해외ETF는 매도차익도 배당소득으로 간주되어 15.4% 세율 적용

  • 즉, 수익 실현 시마다 자동으로 세금 떼고 입금 → 복잡한 신고 필요 없음

현재처럼 “원금은 유지, 수익은 생활비”라는 방식이라면 아주 단순하고 편리한 구조입니다.

2. ISA 계좌(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 과세 혜택: 3년 이상 유지 시

  • 순이익 200만원(서민형·농어민은 400만원)까지 비과세

  • 초과분은 9.9% 분리과세 (일반계좌 대비 세율 절반 수준)

  • 편의성: 다양한 상품을 담을 수 있고, 장기 운용할수록 절세 효과 극대화

  • 단점: 3년 이상 유지해야 혜택, 연간 납입 한도(2천만원, 최대 1억) 제한

3. 질문자님 상황에 적용

  • 이미 일반계좌에서 수익을 보고 생활비로 사용 중 → 유동성이 중요하고, 단기적으로 쓸 돈이라면 일반계좌 유지가 더 낫습니다.

  • 반대로 “앞으로 새로 투자할 자금 중 중장기용(3년 이상 안 쓸 돈)”이라면 ISA 계좌 활용이 훨씬 유리합니다.

  • 즉, 기존 원금은 일반계좌에 두고, 앞으로 추가 투자 자금은 ISA로 분리하는 방법이 합리적입니다.

4. 왜 “바보”라는 말이 나올까?

  • ISA 같은 절세 상품을 안 쓰고 일반계좌만 쓰면 세금을 더 내는 건 사실이라서 그런 표현이 나옵니다.

  • 하지만 질문자님처럼 현금 흐름(생활비 확보)이 목적이라면 일반계좌가 맞습니다.

  • 세금 아낀다고 유동성을 희생하는 게 더 비효율적일 수도 있습니다.

정리

  1. 단기 생활비·수익 활용 → 일반계좌 유지 (단순, 편리)

  2. 3년 이상 장기 투자 자금 → ISA 활용 (절세 효과)

  3. 두 가지를 병행하는 게 가장 현실적이고, 결코 “바보” 같은 선택이 아닙니다.

즉, 원금은 그대로 두고 생활비로 수익을 활용하는 건 합리적이고, 앞으로 추가 투자 자금을 ISA로 옮겨서 절세 효과를 누리시면 가장 좋은 그림이 나옵니다.

질문자님께서도 잘 생각하셔서 성투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