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인터넷 연결때문에 미치겠습니다; 1, 2번째 사진은 각 연결된 포트이며 보시는대로 노란불이 들어와서 계속

1, 2번째 사진은 각 연결된 포트이며 보시는대로 노란불이 들어와서 계속 깜빡깜빡거립니다.다만 3, 4, 5번째 사진을 보시면 알겠지만 이상하게 네트워크 감지는 하는데 인터넷은 연결을 못한다고만 뜨더라구요.처음엔 드라이버 오류인줄 알고 바이오스 업뎃, 랜선 드라이버 삭제 및 재설치 등등 하다가 해결이 안되고..나중엔 벽 랜포트가 문제인가 해서 인터넷 기사를 불렀는데, 해당 포트는 매우 정상적으로 작동중이라고 말씀해주시더라구요. 실제로 직접 핸드폰으로 인터넷이 돌아가는걸 보여주셨고, 나중에 가끔 인터넷이 연결되었던걸 감안하면 포트는 문제 없는걸로 생각이 듭니다.랜선은 어제 쿠팡에서 새로 구매한 제품이고, 추가로 다이소에서 산 랜선도 구비해둔 상태구요...근데도 3, 4, 5번째 사진처럼 인터넷 연결이 안됩니다.. 윈도우 해결사나 업뎃, 장치 관리자에 들어가서 이것저것 설정도 해보면서 다 해봤는데.. 진짜 돌아버릴거 같습니다.그럼 보드 불량이 아닌가? 했는데 업자분이랑 통화해본 바로는, 만약 불량이었으면 노란불이 깜빡거리지도 않았을 뿐더러 인터넷 연결 자체가 안될텐데 실제로 가끔 연결이 되었다는건 불량이라기보단 뭔가 소프트웨어 충돌때문인거 같다라고만 말씀을 하시더라구요..실제로 저렇게 인터넷 연결이 안된 상태로 대략 30분~1시간정도 가만히 두면 어느순간 인터넷이 연결이 되어 있더라구요; 이때 겜도 설치해보고 aaa급 겜도 돌려봤는데 문제없이 잘 진행되었습니다.. 다만 몇시간동안 돌리다가 재부팅할 일이 생겨서 잠깐 껐다가 다시 키니까 다시 또 저렇게 인터넷 연결이 안된다고 뜨더라구요.재부팅 또는 절전모드로 돌입하면 연결되어 있던 인터넷이 끊어지고 3, 4, 5번처럼 나오는데..대체 이유가 뭔지 아는 분 있을까요? 해결책은 없는지 ㅠㅠㅠ아 그리고 iptime 유선랜카드를 추가로 구매해서 보드에 꽂고 구동해봤는데, 똑같이 3번처럼 뜨더라구요 ㅠㅠ+) 보드는 b650m k입니다.

안녕하세요. 인가남의 공식 지식 파트너입니다. 사진과 증상 설명 잘 보았습니다 — 재부팅·절전 후 DHCP로 IP를 못 받아 오는 문제라면 하드웨어·선·회선·윈도우 설정 중 어느 쪽인지 차근히 가려야 합니다. 가능한 원인과 우선 순위별 점검·해결 방법을 아래에 정리해 드립니다.

주요 원인(가능성 높은 순)

- 케이블/잭 또는 물리적 연결 문제(접촉 불량, 결선 불량, 카테고리 등급 불일치)

- 스위치/빌딩 포트의 포트 보안(MAC 바인딩) 또는 ISP 측 DHCP 제한

- 윈도우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절전, 에너지 절약 기능, 속도 협상 문제)

- 드라이버 충돌 또는 잘못된 드라이버

- 보드/랜칩 하드웨어 문제(다만 외장 랜카드에서도 동일 증상이면 가능성 낮음)

- 소프트웨어(백신/가상 네트워크/브리지/VPN) 간 충돌

우선 시도해볼 점검·해결 절차 (순서대로 따라 해 보세요)

1) 상태 확인(문제 재현 시 명령 출력 첨부 부탁)

- 문제가 발생했을 때 관리자 권한 CMD에서 아래 명령 실행 후 결과를 캡처/공유해주세요.

- ipconfig /all

- ping -n 5 192.168.0.1 (보통 게이트웨이 주소로 바꿔서, 모르면 ipconfig에서 게이트웨이 확인)

- arp -a

- getmac /v

- 연결 안 될 때 IP가 169.254.x.x(APIPA)인지, DHCP 서버 주소가 보이는지 확인 필요.

2) 물리 연결 확인

- 다른 랜선(가능하면 다른 제조사, 카테고리(예: Cat6 이상)로)로 교체해 테스트. 사진엔 케이블 각도와 어댑터가 보이는데, 직결(중간 어댑터 제거)으로도 테스트해 보세요.

- 벽면 잭의 다른 포트(있다면) 또는 집 안 다른 단자에 연결해 보고 동일 증상인지 확인.

- 포트에 걸쇠(clip) 제대로 걸리는지, 핀 손상 여부도 육안으로 확인.

3) 다른 장치로 비교 테스트

- 같은 케이블/같은 벽면 잭에 노트북이나 다른 PC를 직접 연결해서 DHCP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 (기술자가 핸드폰으로 인터넷 된다고 했는데, 핸드폰은 와이파이를 통해 다른 장비에 연결한 것일 수 있으니 유선으로 직접 테스트해 달라고 요청)

- 집에 개인 라우터(또는 iptime 공유기)가 있다면 그 공유기를 벽면 포트에 먼저 연결해, 공유기가 인터넷을 잘 받아오는지 확인. 공유기가 정상이라면 PC 쪽 문제(윈도우/드라이버) 가능성↑

4) 윈도우 어댑터 설정 점검

- 네트워크 어댑터 전원관리에서 "컴퓨터가 이 장치를 끌 수 있음" 체크 해제.

- Realtek 드라이버의 고급(Advanced) 항목에서 Energy Efficient Ethernet, Green Ethernet, Power Saving 같은 항목을 모두 Disabled로 설정.

- 속도 및 이중성(Speed & Duplex)을 Auto Negotiation에서 수동(예: 1.0 Gbps Full)으로 강제해 시도해보되, 케이블/포트가 1Gbps를 지원하지 않으면 링크가 안뜰 수 있으니 주의. 현재 캡처에선 링크가 100/100으로 잡혀 있음(케이블/포트가 1G 지원 안 하거나 자동협상이 실패한 상태).

5) 드라이버/윈도우 설정

- 보드 제조사(또는 Realtek)에서 제공하는 최신 LAN 드라이버를 설치(단, 윈도우 업데이트 드라이버가 아닌 제조사 공식 드라이버 권장). 드라이버를 새로 설치해도 증상 지속 시 드라이버 롤백도 시도.

- 가상 네트워크 어댑터(Hyper-V, WSL, VMware 등)나 VPN 클라이언트가 있으면 일시적으로 비활성화/제거.

- fast startup(빠른 시작) 끄기: 제어판 > 전원 옵션 > 전원 단추 작동 설정 > 빠른 시작 끄기 체크.

- Windows 네트워크 재설정(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고급 네트워크 설정 > 네트워크 초기화) 시도(다만 설정이 초기화되니 주의).

6) 다른 OS로 확인 (소프트웨어 문제 판별)

- 라이브 USB(예: 우분투 라이브)로 부팅해 유선인터넷 상태를 확인. 라이브 환경에서도 같은 증상이면 하드웨어/회선 문제일 가능성 큼.

7) DHCP/ISP 관련 체크

- ipconfig /all에서 DHCP 서버가 보이는지, 할당되는 게이트웨이/서브넷이 정상인지 확인.

- 건물/공급사 쪽에서 MAC 바인딩(고정 MAC만 허용)이나 포트 제한을 걸어두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술자에게 "고정 MAC 제한/포트 보안" 여부를 문의해 보세요. (특히 공동주택에서 흔함)

- ISP 측에서 특정 장비 재부팅 시 DHCP 할당이 늦게 이루어지거나 idle 상태에서 차단하는 정책이 있는지 확인 요청.

추가로 시도해볼 팁

- 유선랜카드(외장)와 온보드 둘 다 같은 증상이라면 윈도우 설정/네트워크 스택 문제 또는 회선/포트 설정 쪽이 유력합니다.

- 재현 시 이벤트 뷰어(Windows 로그 >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관련 에러(Driver, DHCP client 등) 로그 확인.

- 링크 속도가 계속 100Mbps로 잡히면 케이블 또는 중간 장비가 1Gbps/2.5Gbps를 지원하지 않거나 자동 협상 실패입니다. (사진상 보드가 2.5GbE인데 100으로 잡힘)

원하시면 제가 요청드린 ipconfig /all 출력(연결 안 될 때와 연결될 때 각각)과 이벤트 뷰어의 최근 네트워크 관련 에러 로그를 올려주시면 보다 정확히 원인 파악 후 구체적 해결안을 드리겠습니다.

인터넷 가입이나 회선 관련 추가 지원이 필요하시다면 아래 링크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http://pf.kakao.com/_qwqxkG/chat

365일 24시간, 전화 및 채팅 상담이 가능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채택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