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2025년 국내 대학교 종합 랭킹에서 서울대와 주요 대학들의 순위는 어떻게 되나요? 최근 발표된 2025년 국내 대학교 종합 랭킹에서 서울대학교와 고려대, 연세대,

최근 발표된 2025년 국내 대학교 종합 랭킹에서 서울대학교와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등 주요 대학들의 순위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이 순위가 결정된 주요 평가 기준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지식iN서비스트렌드 AI 질문이라 AI 답변으로 대신해 봅니다.

종합랭킹은

  • 절대적 평가 척도는 아님: 랭킹은 기준(연구·교육·평판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하나의 랭킹만으로 ‘무조건 좋다/나쁘다’ 판단하긴 어렵습니다.

  • 연구중심·국제화·고용 여부 등 관심사에 따라 살펴볼 지표가 다름: 예컨대 ‘연구 성과(논문·피인용)’를 중시하면 THE·Scimago·Leiden 쪽을, ‘국제 평판·취업’을 중시하면 QS·USNews 등을 참고하는 게 좋습니다.

  • 국내선발·학과별 평판은 랭킹과 별개로 작동함: 학과(전공)별 교육·취업 네트워크·산학협력은 랭킹 숫자와 다른 차원이니 지원 시 학과 정보도 꼭 보세요.

  • Times Higher Education (THE,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5)

  • 서울대학교 — ≈ 62위.

  • 연세대학교 — ≈ 102위.

  • 성균관대학교 (SKKU) — ≈ 102위(동위권/유사권).

  • 고려대학교 — ≈ 189위.

  • QS (Quacquarelli Symonds, QS World/Asia Rankings — 연도·지표별 변동 있음)

  • QS는 연도에 따라 순위가 크게 오르내릴 수 있지만, 서울대가 한국 대학 가운데 최상위권을 유지하는 한편(최근 QS 계열에서 상위권), 연·고·성(및 KAIST·포스텍 등)이 그 뒤를 잇는 패턴이 계속됩니다

각 랭킹 기관은 서로 다른 지표와 가중치를 씁니다. 대표적인

  • Times Higher Education (THE)

  • 주요 영역: 교육(Teaching), 연구 환경(Research environment), 연구 영향(Research quality — 논문 피인용 등), 산업 수입(Industry income), 국제화(International outlook) — 총 18개 지표를 보정해 합산.

  • QS (Quacquarelli Symonds)

  • 주요 지표: 학계 평판(Academic reputation), 고용주 평판(Employer reputation), 교수 1인당 논문 인용(Citations per faculty), 교수·학생 비율(Faculty/student ratio), 국제화(국제 학생·교원 비율) 등. (평판 설문 비중이 커서 ‘인지도’에 영향을 크게 받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