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찾으시는 건 “보안 장비 위치/사용법 매뉴얼”인데, 이건 일반 검색으로는 공개되지 않는 내부 자료라 안 보이는 게 정상이에요.
✈️ 왜 검색해도 안 나올까?
**항공기 비상·보안 장비 정보(위치·사용법)**는 보안과 안전상 이유로 일반 대중에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이런 자료는 항공사 **운항 승무원 매뉴얼(OM-A, OM-B)**이나 Cabin Safety Manual, 비상훈련(SEP: Safety and Emergency Procedures) 교재에 포함돼 있고, 해당 항공사 직원(승무원·정비사 등)만 접근 가능합니다.
✈️ 승무원들은 어떻게 공부하나요?
신규 입사 교육
항공사에서 기종별 SEP 훈련을 4~6주 이상 진행합니다.
여기서 B777-300ER, A350, B787 등 기종별로 **모형 트레이너(Mock-up)**에서 비상 장비 위치·사용법을 직접 익히죠.
매뉴얼 학습
Cabin Safety Manual, 또는 “EFB(전자 플라잇북)”에 탑재된 매뉴얼을 통해 공부합니다.
기종별 장비 위치도면, 브리핑 포인트, 절차가 모두 들어있습니다.
주기적 리커런트 훈련
모든 승무원은 매년 정기적으로 **비상 상황 훈련(탈출 슬라이드, 구명정 전개, 소화기 사용 등)**을 다시 받아야 합니다.
학생/과제용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
공식 자료 확인: FAA, EASA, ICAO 같은 기관이 발간한 공개 문서에서 “항공기 안전 장비 일반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예: FAA AC 121-24C Cabin Safety 문서류)
항공사 홈페이지/브로슈어: 일부 항공사는 승객 안내 차원에서 “기내 안전 장비”를 간략히 소개합니다 (구명조끼, 산소마스크, 소화기 등).
항공안전 관련 교재: “Cabin Crew Training Manual(공식 교재)” 번역본이 도서관·항공대 교재실에 있을 수 있습니다.
과제 제출용이라면** 구체적 좌표·도면**까지는 요구하지 않고, 대표적인 장비와 일반적 위치를 정리하면 충분합니다.
과제용 정리 예시 (B777-300ER 기준, “일반적” 설명)
산소마스크: 좌석 상부 패널 / 승무원 jumpseat 상부 패널
구명조끼(Life Vest): 좌석 하부, 승무원 jumpseat 근처
비상구/슬라이드: 각 출입문 및 오버윙 출구에 장착
소화기/Protective Breathing Equipment (PBE): 갤리, 객실 중간, 승무원 좌석 근처
구급상자/응급의료 키트: 갤리 상부 수납함
탈출용 로프: 조종실 창문 위
(→ 위치와 개수는 항공사 세팅마다 다를 수 있음)
✅ 결론:
구체적인 “위치도/사용법”은 보안상 일반 공개 금지라 인터넷에 안 나옵니다.
승무원은 항공사 제공 매뉴얼 + SEP 훈련으로 숙지합니다.
과제라면 FAA/EASA 자료 + 기내 안전 안내 영상을 참고해 대표 장비와 일반적 위치를 정리하시면 됩니다.
✨과제 제출용으로 B777-300ER 기종 기준 주요 비상 장비를 일반적으로 정리한 표를 준비했습니다. (실제 항공사·세팅에 따라 위치나 수량은 다를 수 있으므로 “대표적 예시”라는 점을 강조하시면 안전합니다.)
B777-300ER 비상 장비 정리표 (과제용 예시)
장비 이름 | 일반적 위치 | 사용 목적 / 개요 |
산소 마스크 (Oxygen Mask) | 승객 좌석 상부 패널, 승무원 점프시트 상단 | 객실 내 압력 저하 시 자동으로 떨어져 산소 공급 |
구명조끼 (Life Vest) | 각 좌석 하부, 승무원 점프시트 인근 | 수상 착수 시 개인 부력 확보 |
비상구 & 탈출 슬라이드 (Emergency Exit & Slide/Raft) | 각 메인 출입문, 일부 오버윙 출구 | 비상시 승객 대피 및 수상 시 구명보트로 전환 |
구급상자 (First Aid Kit) | 전·후방 갤리 수납함 | 경미한 부상·질환 처치용 기본 의료품 |
응급 의료 키트 (Emergency Medical Kit) | 갤리 잠금 보관함 | 의료인 또는 승무원이 응급 상황에 사용하는 고급 장비 |
소화기 (Fire Extinguisher) | 갤리, 점프시트 주변 | 객실·갤리 내 화재 진압 |
보호 호흡 장비 (Protective Breathing Equipment, PBE) | 소화기 근처, 갤리 수납함 | 연기·산소 부족 환경에서 승무원이 소화/구조 활동 가능하도록 보호 |
탈출용 로프 (Escape Rope) | 조종실 창문 상부 | 조종사가 조종실 창문을 통해 탈출할 때 사용 |
플래시라이트 (Flashlight) | 승무원 점프시트 옆 | 정전·야간 비상 시 조명 제공 |
메가폰 (Megaphone) | 객실 전·후방 승무원 좌석 근처 | 기내 정전·혼잡 시 승객 지시·통제용 |
✨ 제출용 팁
“위치는 항공사에 따라 다를 수 있다”라는 문구 추가하면 현실성과 보안 모두 충족.
그림(비상 장비 아이콘) 추가하면 가독성이 좋아집니다.
참고 자료: FAA Cabin Safety Guideline, 기내 안전 비디오(대한항공/아시아나 B777-300ER).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좋아요"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