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진로진학 콘텐츠를 다루고 있는 메이저맵 에디터 여름입니다.
질문하신 고2 윤리와 사상 중간고사 벼락치기 공부법을 정리해 드릴게요. 시험이 3일밖에 남지 않았을 때는 핵심 개념 → 비교 정리 → 기출 풀이 → 서술형 대비 순으로 압축해서 공부하는 게 가장 효율적입니다.
1단계: 개념 요약 (Day 1)
EBS 수능특강 교재 중심
플라톤~칸트 등 주요 사상가만 골라서 키워드 위주로 정리
교재 속 개념 박스·도표만이라도 빠르게 훑기
예시:
소크라테스 → 지덕합일
플라톤 → 이데아론
아리스토텔레스 → 중용
칸트 → 동기 중심, 정언명령
공리주의(벤담/밀) → 결과 중심, 최대다수 최대행복
2단계: 비교 정리 (Day 1~2)
사상가별 대립 구도를 노트에 가로 정리
칸트 ↔ 공리주의 (동기 vs 결과)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 (이상주의 vs 현실적 중용)
찬반·차이점을 짝지어 정리하면 시험에서 응용 문제에 강해짐
3단계: 기출 & 문제풀이 (Day 2)
완자 문제집과 학교 기출문제를 최우선으로 풀기
틀린 문제는 반드시 교재 개념·문장에 근거 표시 → 오답노트 간단 기록
내신은 “기출+변형” 비중이 높으니 기출 분석에 시간 많이 투자
4단계: 서술형·논술 대비 (Day 2~3)
예상 주제(윤리적 딜레마, 사상가 비교, 현대 적용 사례) 짧게라도 써보기
키워드만 정확히 넣어도 점수 확보 가능
예: “칸트는 행위의 동기를, 공리주의는 행위의 결과를 중시한다.”
5단계: 시험 전날 점검 (Day 3)
핵심 개념 단어장 A4 반 장에 정리
백지 복습법: 주요 사상가와 개념을 써보며 빠진 부분 확인
교재 목차·구조도 훑으며 흐름(사상사 전개 순서) 정리
히든 팁
개념을 “암기”하는 데서 끝내지 말고, 비교·이해·적용에 집중
친구들과 퀴즈 내기(사상가 키워드 맞추기) 하면 기억에 오래 남음
시험 전날은 새로운 것보다 틀린 문제·노트 구조만 다시 보기
정리하면, 3일 안에 끝내려면 EBS 개념 + 사상가 비교 + 기출/완자 문제 + 짧은 서술 연습 이 4가지만 잡아도 충분히 점수를 올릴 수 있습니다.
✔︎채택 부탁 드리며, 아래 주소는 실제 학생들의 진로 고민과 연결되는 내용이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같아 첨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