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아고다 고객센터 관련 아고다 앱이서 계속 알림이 와서 뭔가 하고 봤는데전 대화릉 한

아고다 앱이서 계속 알림이 와서 뭔가 하고 봤는데전 대화릉 한 적이 없고 카톡으로 연결되어있거든요근데 어떤 사람이 제 이름을 말하면서자신은 그 사람이 아니라고 왜 숙소 예약 카톡이 왔는지 모르겠다부터 시작해서 다른 대화 내용까지 다 보이더라구요아고다측에 연결해봐도 외국앱이라 그런가문제가 뭔지도 모르던데 이런경우 있으셨나요

아고다 앱 내 ‘알림·메시지 사기’ 사례와 대응 방법

핵심 요약

아고다 앱이나 카카오톡 채널을 통한 갑작스런 알림이나 메시지에 답신하거나 링크를 클릭하면 개인정보·결제정보 유출 또는 금전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동일 사례가 종종 보고되며, 아래 사례와 대응 방안을 참고하세요.

1. 아고다 공식 앱 내 메시징 피싱

아고다 앱 “메신저” 기능으로 오가는 대화는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도 내부 시스템이 뚫려 사기꾼이 끼어들 수 있습니다.

  • 사례: 숙소와 몇 차례 정상 대화를 나눈 뒤, 갑자기 “결제 정보 오류”라며 URL을 보내고 결제 정보 입력을 유도한 경우.

  • 피해: 링크 클릭 즉시 비공식 사이트로 연결되어 카드번호·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됨.

2. 로맨스 스캠과 결합한 숙박 사칭 수법

SNS·채팅 앱에서 친분을 쌓은 뒤 로맨스로 접근해 숙소 예약을 대신해 주겠다며 가짜 아고다 예약 링크를 보내는 형태입니다.

  • 사례: 외국인·낯선 이성과 몇 주간 대화를 나눈 뒤 “출장 예약해 줬다”며 가짜 링크 전송 → 결제정보 입력 유도.

  • 피해: 감정적 신뢰를 바탕으로 개인정보·계좌정보가 유출되고, 소액결제가 반복 발생.

3. 제휴 파트너 사칭 해킹·피싱

아고다 파트너(숙소) 시스템이 뚫려 위협 행위자가 숙소 직원으로 가장, 고객에게 악성 링크를 보내기도 합니다.

  • 사례: 숙소 메시징 플랫폼 접속 정보를 탈취해 고객 메시지로 악성 URL 전송 → 결제 정보 탈취.

  • 특징: 아고다 백엔드 시스템 자체는 안전하더라도, 파트너사 시스템 침해로 인한 2차 피해 발생.

대응 방법

  1. 링크·첨부파일 절대 클릭 금지

  2. 메시지에 포함된 URL이나 QR코드는 공식 아고다 앱·웹에서 직접 검증 후 접속하세요.

  3. 공식 채널로 재확인

  • 앱 내 고객센터 → 1:1 채팅이나 문의하기

  • 아고다 웹사이트 로그인 후 ‘내 예약’에서 예약 상태 확인

  • 카카오톡 채널은 예고 없이 인증절차가 바뀔 수 있습니다. 반드시 앱·웹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1. 비밀번호·OTP 재설정 및 2단계 인증 활성화

  • 아고다 계정 비밀번호 재설정

  • 이메일·카카오톡 비밀번호도 함께 변경

  • 가능하다면 모바일 MFA(OTP) 사용

  1. 공식 고객센터 신고 및 차단 요청

  • 앱 내 ‘도움말센터’ 또는 웹사이트 하단 ‘고객센터’ 통해 의심 알림·메시지 스크린샷 첨부 신고

  • 카카오톡 채널에선 ‘수신거부’ 설정

  1. 개인정보 검사 및 결제 내역 점검

  • 카드사 앱·은행 앱에서 갑작스런 소액결제 내역 확인

  • 이상 거래 발견 시 즉시 카드사에 분쟁·차지백 신청

위와 같은 사기 수법은 주기적으로 변형되어 나타납니다. 결제·예약 관련 알림을 받았을 때는 항상 “내 예약(My Bookings)” 메뉴에서 직접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메시지는 즉시 신고 및 차단 처리하시기 바랍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