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20대 우울증 증상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무엇인가요? 동생 친구가 우울증 진단을 받았다는데, 항상 밝고 전혀 그런 느낌이

동생 친구가 우울증 진단을 받았다는데, 항상 밝고 전혀 그런 느낌이 없던 아이라 20대에서 우울증 증상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궁금해서요. 20대 우울증 환자들에게 가장 흔히 나타나는 증상과 다른 연령대와 특별히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특히, 우울한 기분이나 감정 외에 우울증에 어떤 다른 증상들이 있을 수 있는지도 궁금하고, 개인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도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휴한의원 인천점 송민섭 원장입니다.

동생 친구분이 우울증 진단을 받으셨다니 많이 놀라셨을 것 같습니다. 평소 밝던 모습만 보셨기에 더욱 당황스러우실 텐데, 실제로 우울증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주변에서 알아차리기 어려운 질환이기도 합니다. 특히 20대는 사회 진출과 인간관계의 변화 등으로 정신적 스트레스가 큰 시기라 더욱 세심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20대 우울증은 다른 연령대와 구별되는 특징들을 보입니다. 이 시기에는 정체성 확립과 진로 고민, 취업 스트레스 등이 주요 원인이 되며, 감정 조절 능력이 아직 완전히 성숙하지 않아 증상이 더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SNS와 디지털 환경에 노출이 많아 타인과의 비교로 인한 자존감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우울한 기분보다는 짜증, 분노, 무기력감이 더 강하게 드러나는 경우가 많고, 수면 패턴의 변화나 신체 증상으로 먼저 나타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우울증 치료는 상담 치료와 약물 치료가 주로 사용되지만, 약물에 대한 의존성이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단순히 증상 완화에 초점을 맞춘 치료는 근본적인 원인 해결에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한의학적 접근에서는 우울증을 기울증이나 신지불교 등으로 보며, 심신의 불균형을 바로잡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침 치료는 뇌의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조절하여 우울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데, 2018년 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침 치료가 세로토닌과 도파민 분비를 증가시켜 우울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었습니다. 한약 치료 역시 개인의 체질과 증상에 맞춘 처방을 통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수치를 조절하고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회복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2020년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에 게재된 연구에서는 감맥대조탕 등의 한약이 우울증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고 발표되기도 했습니다.

생활 관리에서는 몇 가지 중요한 점들을 실천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규칙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데, 특히 20대는 야간 활동이 많아 수면 리듬이 깨지기 쉬우므로 밤 11시 이전에는 잠자리에 드는 것이 좋습니다. 적당한 운동은 엔돌핀 분비를 촉진하여 자연스럽게 기분을 개선시키는데, 격렬한 운동보다는 산책이나 요가 같은 가벼운 운동이 더 효과적입니다. 식사는 규칙적으로 하되 트립토판이 풍부한 바나나, 견과류, 생선 등을 섭취하면 세로토닌 생성에 도움이 됩니다. 카페인과 알코올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고 기분 변화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을 줄이고 특히 잠들기 2시간 전에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사용을 자제하여 멜라토닌 분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변 사람들과의 소통을 늘리되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도 회복에 큰 도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명상이나 심호흡 같은 이완 기법을 하루 10-15분씩 실천하면 스트레스 관리와 감정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자세한 상담과 진찰을 통해 개인에게 맞는 치료방법을 찾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건강한 삶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