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큐레이터/도슨트/학예사가 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저는 대학교에서 공예를 전공하고 있으며현재 학예사 직무에 관심을 가지고 진로를

안녕하세요.저는 대학교에서 공예를 전공하고 있으며현재 학예사 직무에 관심을 가지고 진로를 탐색하고 있는 대학생입니다.진로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학예사, 전시기획, 도슨트 등 전시 분야에서 활동하고 계신 분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고 싶습니다. (제 전공 특성상 주위에서는 주로 창업 분야로 진출하셔서 실제 전시 관련 실무를 하시는 분들을 만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그래서 인터넷에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저는 평소 관련 봉사와 직업 체험을 통해 경험을 쌓아가고 있지만, 현직자의 조언을 직접 듣는 기회는 아직 부족합니다.혹시 짧게라도 인터뷰 시간을 내주실 수 있으시다면, 제 진로 탐색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바쁘시겠지만 가능하시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1대1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공예를 전공하시며 학예사와 전시기획 분야로 진로를 고민 중이신 대학생 질문자님.

직접 현장 이야기를 듣고자 이렇게 정성껏 글을 남기신 모습, 진심으로 응원하고 싶습니다.

저도 비슷하게 예술 전공 후 큐레이터와 문화기획을 고민했던 경험이 있어서 그 고민이 얼마나 깊은지 잘 알아요.

제 경험상, 아래 방향으로 접근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학예사 자격증’은 필수는 아니지만 큰 도움이 됩니다

  2. 문화체육관광부가 인증하는 학예사 자격증은 박물관·미술관에서 일할 수 있는 공식 자격입니다.

  3. 특히 국·공립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산하 문화기관은 거의 필수로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학예사 3급 자격: 관련 전공 학위 + 일정 학점 충족 + 시험 또는 과정 이수 필요

  • 최근에는 문화예술경영, 미술사, 큐레이션학과 등 세부 전공자들이 유리합니다.

  1. 도슨트와 큐레이터는 역할이 조금 다릅니다

  • *도슨트(docent)*는 전시 해설을 맡는 ‘전시 안내인’ 개념으로, 프리랜서 혹은 자원봉사로 활동하는 분들도 많아요.

  • *큐레이터(학예사)*는 전시 기획, 작품 조사, 예산·공간 관리 등 기획과 운영 전반을 담당합니다.

  •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진로는 ‘큐레이터/학예사’ 중심으로 보입니다.

  1. 실무 경험은 ‘전시 보조 인턴’부터 시작해보세요

  2. 박물관, 미술관, 문화재단, 갤러리 등에서는 학예보조나 교육보조 인턴을 수시로 모집합니다.

  3. 대학생일 때부터 이런 공고에 지원해 전시 설치, 자료 정리, 관람객 응대 등 실무를 경험해보면

  4. 나중에 진로 결정에도 훨씬 도움이 됩니다.

  5. 현직자 연결은 ‘예술인 플랫폼’에서 찾아보세요

  • 아트인사이트, 스마트인재개발원, 문화예술잡다 같은 사이트에서는 관련 포럼, 특강, 멘토링이 자주 열립니다.

  • 직접 인터뷰 요청은 인스타그램이나 브런치에서 큐레이터 활동 중인 분들께 예의를 갖춰 DM을 보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질문자님처럼 미리미리 준비하고 적극적으로 나서는 분들이

현장에서 더 빛을 발하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진심으로 응원드립니다!

위 내용은 아래 블로그를 직접 검색하여 일부 내용을 말씀드렸습니다.

더 궁금한 관련 정보는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관련 정보 보러가기]: https://m.site.naver.com/1Qf3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