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반품 및 피해보상 세금계산서 발행 유무? 약 10개월간 자재를 여러 차례 구입하고여러 건의 세금계산서를 발행 받았습니다

약 10개월간 자재를 여러 차례 구입하고여러 건의 세금계산서를 발행 받았습니다 그 구입한 자재로 제품을 생산 판매했는데 상당수의 제품에서 해당 업체의 자재의 불량 이슈로 반품을 받았습니다 일단 저희는 B to C 라 반품 처리가 간단하였습나다 다만 계약서상 보증기간이 1년이라 이시점에서 피해보상금액은 내용증명으로 청구하였고 업체도 동의하였습니다이 피해보상금은 영업외 이익으로 처리할계획입니다 다만 불량 자재의 반품 처리가 문제입니다 .원 거래 계산서는 모두 신고가 처리 된 상황이고15건의 계산서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수정계산서 발행을 위해 어떤 계산서를 특정하기도 어려워보여서요 ( 상대방 거래처에서도 본인들에게 좀 피해가 있을지도 모른다고 사정해서요 )마이너스계산서 발행은권장하지 않는다는 의견들도 많아서요계산서 수정이나 추가 발행 없이 반품하고 물품대금 + 피해보상금 을현금 이체를 받으면 문제가 될까요 ? 이런 경우 어떻게 처리해주는 것이상대방을 도와주는 것일까요 ?오래 거래를한 거래처라 사정을 무시하기도 어려워서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10개월 동안 거래하던 업체와 이런 상황이 생기셔서 정말 난감하시겠어요. 오래 거래한 곳이라 관계도 유지하고 싶으시고, 세금 처리도 정확하게 하고 싶으신 마음 충분히 이해됩니다. 단계별로 차근차근 설명해드릴게요.

1. 불량 자재 반품 시 세금계산서 처리 원칙

원칙적으로 불량으로 인한 반품이 발생하면 수정세금계산서 또는 마이너스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 합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15건의 계산서 중 어떤 건에서 불량이 발생했는지 특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실제 반품된 자재 금액만큼을 합산해서 마이너스계산서를 발행하는 방법이 가장 명확합니다.

마이너스계산서를 권장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다고 하셨는데, 이건 세무당국에서 거래 취소나 환입을 의심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하지만 질문자님의 경우처럼 명확한 불량 사유피해보상 합의가 있다면 전혀 문제될 게 없어요. 오히려 정상적인 거래 조정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2. 세금계산서 없이 현금만 받으면 생기는 문제

질문자님께서 고민하시는 것처럼 계산서 수정 없이 물품대금과 피해보상금을 현금으로만 받으시면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첫째, 질문자님 입장에서는 이미 매입세액공제를 받은 자재를 반품했는데 매입세액을 조정하지 않으면 부당공제로 보일 수 있습니다. 세무조사 시 설명이 어려워질 수 있어요.

둘째, 상대방 업체도 이미 매출세액을 신고한 상태에서 실제로는 반품이 발생했는데 매출을 조정하지 않으면 과다 신고 상태가 됩니다. 나중에 문제가 되면 가산세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죠.

셋째, 현금으로만 처리하면 증빙 없는 수입으로 보여서 세무당국에서 의심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금액이 크다면 자금 출처 조사 대상이 될 수도 있어요.

3. 상대방을 배려하면서 정확하게 처리하는 방법

오래 거래한 업체를 배려하시면서도 세무상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불량 자재 반품 부분: 실제 반품된 자재 금액에 대해서는 공급자(상대 업체)가 마이너스세금계산서를 발행하도록 하세요. 15건 중 어느 건인지 특정하기 어렵다면, 반품일 기준으로 새로운 계산서 번호로 발행하면 됩니다. 적요란에 "불량으로 인한 반품"이라고 명시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상대방 업체는 매출을 줄이고 부가세를 환급받을 수 있고, 질문자님은 매입세액을 조정할 수 있어서 서로 정상적인 세무 처리가 가능합니다.

피해보상금 부분: 피해보상금은 질문자님 말씀대로 영업외수익으로 처리하시면 됩니다. 이 부분은 자재 거래와는 별개의 손해배상 성격이므로 세금계산서 발행 대상이 아닙니다. 대신 합의서영수증을 작성해서 증빙을 남겨두시는 게 안전합니다.

4. 구체적인 처리 순서

1단계: 상대 업체와 반품 내역과 금액을 명확히 정리합니다. 불량 자재의 품목, 수량, 금액을 문서로 작성하세요.

2단계: 상대 업체에서 반품 금액에 대해 마이너스세금계산서를 발행하도록 요청합니다. 이때 "불량으로 인한 반품 처리"라고 적요란에 명시하면 됩니다.

3단계: 피해보상금은 별도로 보상 합의서를 작성하고, 이체 받으신 후 영업외수익으로 회계 처리합니다.

4단계: 모든 증빙(내용증명, 합의서, 계산서 등)을 함께 보관해두시면 나중에 어떤 문제가 생겨도 설명할 수 있습니다.

5. 상대방을 도와주는 방법

상대방 업체가 걱정하는 부분은 아마도 매출 감소에 따른 세금 환급 절차신고 수정의 번거로움 때문일 거예요. 하지만 마이너스계산서 발행은 정상적인 거래 조정이므로 전혀 불이익이 없습니다. 오히려 부가세를 환급받을 수 있어서 상대방에게도 유리합니다.

질문자님께서 도와주실 수 있는 방법은 반품 내역을 명확하게 정리해서 상대방이 계산서를 발행하기 쉽도록 해주시는 거예요. 품목별 금액, 수량, 사유를 표로 만들어주시면 상대방은 그대로 계산서만 발행하면 되니까 훨씬 수월합니다.

거래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양쪽 모두 세무상 리스크 없이 처리하는 게 진짜 서로를 위하는 길입니다. 질문자님의 배려심이 느껴지는데, 정확한 처리가 장기적으로는 더 좋은 거래 관계를 만든다는 점 기억해주세요!

https://bizachieve.com 들어오시면 다양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