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hd 환경에서는 병목이 있을 법한 조합입니다.
그래픽카드에 비해 시피유가 부족합니다.
그러나 단순히 병목현상이 있다고 해서 렉이 걸리느냐는 100% 확답할 수가 없습니다.
병목현상이 안생기게 하려면 시피유를 라이젠 5600정도로 바꿔주면 됩니다.
일단 병목을 제처두고, 라이젠 3600과 그래픽카드 rtx2080을 따로 때놓고 각각 본다면
각각 발로란트 권장사양 이상입니다.
발로란트는 저사양 게임입니다.
아래는 gemini 답변입니다.
다른 각도에서도 한번 보시라고 답변 올려드립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라이젠 5 3600XT와 RTX 2080 조합으로 발로란트에서 프레임 드랍이 심하다면, 이는 일반적인 **병목 현상(CPU의 한계)**뿐만 아니라 발로란트의 특성 및 시스템 최적화 문제에서 기인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발로란트는 그래픽카드 성능보다는 CPU의 단일 코어 성능과 시스템 일관성에 매우 민감한 게임입니다.
다음과 같은 주요 원인과 해결 방법을 단계별로 확인해 보시는 것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1. 발로란트의 특성과 CPU 병목 확인
발로란트는 엔진 특성상 CPU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게임입니다. RTX 2080을 사용하더라도 CPU(3600XT)가 그래픽카드에 데이터를 충분히 빠르게 전달하지 못하면 프레임 드랍이 발생합니다.
확인 사항: 게임 중 CPU 로드율과 GPU 로드율을 모니터링 프로그램(예: MSI Afterburner)으로
확인해 보세요.
CPU 로드율 90% 이상 & GPU 로드율 50~70% 이하: CPU 병목 현상이 주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CPU/GPU 로드율 모두 낮음: 온도 문제나 시스템 설정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2. 해결을 위한 필수 최적화 (CPU 성능 확보)
라이젠 3600XT 시스템에서 발로란트의 프레임 일관성을 높이는 가장 중요한 설정들입니다.
A. 인게임 설정 확인
멀티스레드 렌더링 활성화: 인게임 설정에서 '멀티스레드 렌더링(Multithreaded Rendering)' 옵션을 반드시 활성화하세요. 3600XT의 다중 코어를 최대한 활용하여 프레임 드랍을 완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그래픽 품질 설정: 발로란트는 그래픽 설정을 낮춰도 CPU 병목이 있다면 프레임이 크게 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드랍 방지를 위해 주요 품질 설정은 **'낮음'**으로 설정하고, 앤티앨리어싱 등은 **'끄기'**로 시도해
보세요.
B. 램(RAM) 오버클럭 확인
라이젠 3000번대 CPU는 RAM 속도의 영향을 매우 많이 받습니다. RAM이 XMP (DOCP) 설정을 통해 최소 3200MHz 또는 3600MHz 이상으로 작동하는지 BIOS에서 확인하세요. 순정 상태(2133MHz 또는 2666MHz)로 작동한다면 프레임 드랍이 심할 수 있습니다.
C. 윈도우 및 엔비디아 설정
하드웨어 가속 GPU 스케줄링(HAGS):
Windows 설정 > 게임 > 그래픽 설정에서 **'하드웨어 가속 GPU 스케줄링'**을 켭니다.
아래 목록에서 발로란트 실행 파일(.exe)을 추가하고 **'옵션 > 고성능'**으로 설정합니다. (재부팅 필요)
엔비디아 제어판 설정:
3D 설정 관리에서 발로란트 프로그램 설정을 선택합니다.
전원 관리 모드를 **'최대 성능 선호'**로 변경합니다.
수직 동기는 **'끄기'**로 설정합니다.
3. 기타 잠재적 원인 확인
위에 제시된 방법을 적용해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아래의 기술적인 문제일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시도할 것: 인게임 **'멀티스레드 렌더링 활성화'**와 RAM 오버클럭 상태 확인입니다
*참고로 cpu와 그래픽카드 사용률을 확인하려면 ctrl+alt+delete 를 동시에 누르고
작업관리자에 들어가셔서 cpu나 그래픽카드 사용률을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