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진로진학 콘텐츠를 다루고 있는 메이저맵 에디터 여름입니다.
질문하신 내용과 비슷한 사례를 다룬 글이 있어서 답변드립니다
화학공학에 관심 있는 고1 학생이라면,
‘과학기술이 인류와 환경에 미치는 양면성’을 중심으로 한 주제 통합 독서 보고서가 매우 좋은 선택이에요.
단순한 과학 지식 요약이 아니라, 화학의 응용과 사회적 영향을 균형 있게 탐구할 수 있기 때문이죠.
주제 예시 1: “화학기술, 인류의 번영인가 위기인가?”
핵심 쟁점: 화학 기술이 인류의 삶을 발전시켰지만, 동시에 환경·윤리 문제도 낳았다는 상반된 시각을 비교합니다.
추천 도서:
① 《화학으로 이루어진 세상》(크리스틴 메데페셀헤르만 외) — 문명 속 화학의 긍정적 기여를 탐구
② 《이러다 지구에 플라스틱만 남겠어》(강신호) — 과학의 남용과 환경오염 문제를 비판
분석 포인트:
화학기술이 인류의 삶을 얼마나 향상시켰는지와 동시에 환경오염을 어떻게 초래했는지를 비교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의 균형점을 논리적으로 제시할 수 있습니다.
주제 예시 2: “친환경 화학, 진짜 대안인가 그린워싱인가?”
핵심 쟁점: 녹색화학이 실제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아니면 기업의 마케팅 수단(그린워싱)에 불과한지를 탐구합니다.
추천 도서:
① 《우리는 플라스틱 없이 살기로 했다》(호프 자런) — 개인 실천 중심의 친환경적 삶
② 《나는 풍요로웠고 지구는 달라졌다》(호프 자런) — 소비 중심 사회의 모순을 비판
분석 포인트:
기술만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를 짚고,
윤리적 소비·정책적 변화 등 사회 구조의 중요성을 제시하면 통합적 사고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주제 예시 3: “화학기술의 발전이 윤리보다 앞서도 되는가?”
핵심 쟁점: 과학 발전의 속도와 인간의 도덕적 책임 사이의 균형
추천 도서:
① 《화학의 변명》(존 엠슬리) — 과학기술을 옹호하는 시각
② 《공기 파는 사회에 반대한다》(최민기 외) — 환경 문제의 사회적 책임 강조
분석 포인트:
과학기술이 인간의 삶을 이롭게 하려면, 윤리·환경의식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 구성 팁
서론: 주제 제시 + 두 책을 함께 선정한 이유
본론: 각 책의 핵심 요지 요약 → 두 입장 간 비교 및 공통점 분석
결론: 자신의 통합적 관점 제시 (예: “과학은 인간의 행복을 위한 수단이어야 하며, 그 중심엔 윤리가 있어야 한다”)
TIP : 메이저맵 서비스의 ‘주제탐구 추천 기능’을 활용하면,
이런 통합형 독서 주제를 교과 성취기준(STAS)과 진로 희망 전공에 맞게 자동으로 추천받을 수 있어요!
✔︎ 채택 부탁드리며, 아래 주소는 실제 학생들의 진로 고민과 연결되는 내용이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 첨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