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자동차관련 소프트웨어는 인공지능에 대체될 가능상이 적나요? 자동차공학과와 자동차it학과 중에 선택을 해야하는데 고민되네요. 물리나 코딩 둘 다

자동차공학과와 자동차it학과 중에 선택을 해야하는데 고민되네요. 물리나 코딩 둘 다 좋아하는 정도가 비슷하거든요

안녕하세요!

IT의 모든 것 A to Z 모두 다 알려드리는 IT하입보이 입니다.

얼마든지 편하게 물어보셔도 됩니다!

1. 자동차 소프트웨어는 대체가 아니라 확대되는 분야

자동차는 이제 기계 중심 -> 소프트웨어 중심 구조로 바뀌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자율주행·차량 제어 시스템이 발전하면서

차량 한 대에 들어가는 코드량은 이미 비행기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 왜 소프트웨어가 계속 중요해질까?

  • - 자율주행 AI -> 센서 데이터 처리 / 상황 판단 알고리즘 필요

  • - 차량 제어 시스템 -> 안전·브레이크·주행·배터리 관리

  • - 차량 내 UI/UX -> 인포테인먼트, 네비게이션, 커넥티드 서비스

  • - OTA 업데이트 -> 자동차가 스마트폰처럼 소프트웨어로 진화

=> 자동차 산업의 중심축이 “메카닉 -> 소프트웨어” 로 이동 중

즉, 자동차 소프트웨어는 인공지능이 대체하는 분야가 아니라, AI와 함께 더 커지는 분야입니다.

2. 그럼 두 학과의 방향 차이는?

구분

자동차공학과

자동차IT학과(자동차 소프트웨어)

중점

엔진, 동역학, 구조, 소재, 기계 설계

자율주행, 임베디드, ECU, 센서·제어, 차량 SW

핵심 과목

열역학, 유체역학, 기계 설계

C/C++, 임베디드, ROS, AI 모델, 제어 알고리즘

강점

하드웨어 이해 · 기계 시스템 설계

소프트웨어 구현 · 자율주행 시스템 설계

취업 분야

완성차 제조 · 정비 · 생산기술 · 부품설계

자율주행 기업 · 모빌리티 플랫폼 · 차량SW 개발

한 줄로 정리

  • 자동차공학과 -> 차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설계

  • 자동차IT학과 -> 차가 “어떻게 판단하는지” 설계

2. 물리도 좋아하고 코딩도 좋아한다면?

둘 다 적성이 맞는다면, 미래 확장성과 시장 흐름은 자동차 IT가 더 강합니다.

왜냐하면:

  • - 전기차 시대 -> 엔진 중심 기계지식 비중 ↓

  • - 자율주행/ADAS -> 소프트웨어 비중 ↑

  • - 기업 채용 트렌드 -> C언어·임베디드·ROS 인력 수요 폭증

실제로 현대·기아·모빌리티 계열 채용도

“SW 우대, 임베디드 전공자 우대” 비율이 계속 올라가고 있습니다.

3. 하지만 선택 포인트는 “진짜로 좋아하는 과정”

두 학과는 배우는 과정의 난이도 방향이 다릅니다.

좋아하는 유형

더 맞는 학과

손으로 만지고 동역학 이해하는 게 재밌다면

자동차공학과

논리적으로 구조 설계하고 알고리즘 짜는 게 재밌다면

자동차IT학과

질문자님께 제 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도움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릴게요~!

추가로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다면

"IT하입보이" 프로필 확인하시고 문의 남겨주시면

자세한 안내 도와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