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국비학원 제가 오늘 상담을 받고 왔는데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요 내일

제가 오늘 상담을 받고 왔는데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요 내일 배움 카드를 만드면서 나라에서 지원한탓인지 카드에 300만원이 잇더라구요그게 지원금인가봐요그리고 오늘 국비 학원을 상담 받았는데 총 4개월 과정이고학원료가 400인데 훈련비 100프로 지원해주고 월 최대 81만원을 훈련장려금 플러스 특별 훈련수당 추가 지원한다는데..왜 그렇게 많이 지원을 해주는지 좀 이상해서요이게 무슨말일까요?

안녕하세요!

국비학원 상담을 받고 오셨는데, 지원 내용이 너무 많아서 오히려 의심스러우셨던 질문자님!

저도 처음 내일배움카드를 발급받고 국비지원 학원에서 상담받을 때, 너무 많은 혜택을 얘기해서 "이거 진짜 맞아?" 싶었던 적이 있었어요.

그만큼 생소한 용어나 구조가 많지만, 알고 보면 정부가 적극적으로 운영중인 실업자 재취업 프로그램이라 꽤 합리적이고 안전한 제도입니다.

  1. 내일배움카드에 표시된 ‘300만 원’은 실제 정부지원 한도입니다

  • 내일배움카드는 고용노동부에서 발급하는 훈련비 지원 카드예요.

  • 보통 기본 300만 원, 우수 취업 취약계층은 최대 500만 원까지 한도가 설정됩니다.

  • 이 돈은 카드에 ‘실제 입금’된 돈이 아니라, 정부가 훈련기관(학원)에 직접 지불하는 한도예요.

  1. 즉, 질문자님의 이름으로 훈련비를 정부가 대신 결제해주는 구조입니다.

  2. 질문자님이 그 돈을 직접 쓰거나, 현금으로 받는 건 아닙니다.

  3. 4개월 과정 총 학원비 400만 원 중 100% 지원이 가능하다고 한 건 훈련비 전액 지원 대상자이기 때문입니다

  • 내일배움카드는 수강 과정에 따라 50%~100%까지 훈련비를 지원하는데요,

  • 특정 조건(실업자, 청년층, 저소득층 등)에 해당하면 100% 전액 지원이 가능합니다.

  • 예를 들어:

  • 실업자: 구직 등록 후 내일배움카드 발급 → 대부분 100% 지원

  • 청년층(만 34세 이하) 또는 고용취약계층: 우대지원 대상

  1. 그래서 질문자님이 지원받는 400만 원 학원비는 본인 부담 없이 전액 국비로 처리되는 것입니다.

  2. 월 최대 81만 원의 훈련장려금 + 특별훈련수당은 생활비 지원 개념입니다

  3. 정부는 단순히 학원비만 지원하지 않고, 훈련에 집중할 수 있도록 생활비 형태의 수당도 지급하고 있어요.

  • 기본 훈련장려금: 매월 최대 11만 6천 원 (출석률 기준)

  • 특별 훈련수당(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 등): 최대 월 70만 원 지원 가능

  • → 이 두 가지가 합쳐져서 ‘월 최대 81만 원’이라고 설명한 거예요.

  1. 단, 이건 누구나 다 받는 건 아니고, 다음 조건에 해당될 경우에만 지급됩니다:

  • 국민취업지원제도에 참여 중인 수급자

  • 고용보험 미가입 실업자

  • 소득 수준이 중위소득 일정 이하인 사람 등

  1. 출석률, 취업활동 계획서, 상담 참여 여부에 따라 매달 지급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에

  2. 학원에서도 자세한 설명을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왜 이렇게까지 지원을 많이 해주냐고요? 정부의 정책적인 목적 때문입니다

  •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구직자에게 실무 능력을 길러 취업률을 높이기 위한 국가 전략 사업이에요.

  • 정부는 ‘취업률을 높이면 복지 지출이 줄고, 세수가 늘어난다’는 정책적 이유로 적극적인 예산 투입을 하고 있는 겁니다.

  1. 그래서 특정 과정에 대해선 국비 100% + 수당 80만 원 이상까지 지원이 가능한 구조가 만들어지는 거고요.

  2. 이건 학원에서 과장한 게 아니라 실제 제도적으로 가능한 수준의 혜택입니다.

정리해드리자면:

  • 300만 원은 실제로 받는 돈이 아니라, 정부가 훈련기관에 대신 결제해주는 최대 한도

  • 400만 원짜리 과정도 훈련비 전액지원 대상자라면 전액 지원 가능

  • 월 최대 81만 원은 훈련장려금 +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 시 특별수당을 합산한 금액

  • 이 모든 건 국가의 취업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제공되고 있는 제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