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12가지 임대 유형을 가장 핵심 포인트 중심으로 간략 정리해 드립니다.
① 국민임대
저소득층 대상, 임대료 저렴, 소득·자산 기준 있음, 거주기간 2~6년 단위.
② 행복주택
청년·신혼·사회초년생 중심, 교통 좋은 곳 많음, 임대료 저렴.
③ 영구임대
가장 저렴. 취약계층 대상. 소득·자산 기준 엄격.
④ 공공임대(5·10년 등)
과거 유형. 중산층까지 입주하는 경우도 있음. 일부는 분양전환 가능.
⑤ 매입임대
LH가 기존 주택을 매입해 임대. 방 크기·상태가 건물마다 다름.
⑥ 전세임대
입주자가 전세집을 찾으면 LH가 계약해주고 본인은 보증금 일부만 부담.
⑦ 통합공공임대(신규)
기존 국민임대·영구임대 등을 통합한 제도. 향후 공급의 중심.
⑧ 공공분양
내 집 마련형. 분양가격 낮음. 소득·자산 기준 존재.
⑨ 행복주택(중복 기재)
위 ② 내용과 동일.
⑩ 분양주택(일반분양)
일반적인 분양 아파트. 청약가점 구조.
⑪ 장기전세(시프트)
대규모 보증금 + 월세 없음. 중산층 실거주자에게 인기.
⑫ 신축다세대 매입임대
LH가 신축 빌라를 매입해 임대. 시설 최신.
30대 중후반의 1인 가구 기준으로 보면,
입주 가능성이 높고 주거 안정성이 좋은 순서는 보통 다음과 유사합니다.
1.행복주택 → 청년·사회초년·1인 가구 신청 많고 경쟁률 다양
2.매입임대 / 신축다세대 매입임대 → 지역 선택 폭 넓고 조건 완화
3.국민임대 → 소득·자산 기준만 맞으면 안정적 거주 가능
4.장기전세 → 초기 보증금 여유가 있다면 부담 없이 오래 거주 가능
5.전세임대 → 원하는 집 직접 선택 가능
6.통합공공임대(향후 공급) → 앞으로 공급 확대 예정
실무 경험상, 30대 1인 가구는 행복주택 → 국민임대 → 매입임대 순으로 가장 많이 지원합니다.
특히 수도권 거주라면 행복주택 입지는 꽤 만족도가 높습니다.
참고 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었다면 채택해 주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