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질문자님처럼 고용보험 가입 이력 + 미가입 알바 경험이 있는 경우,
실업급여 수급 여부가 다소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차근차근 정리해드릴게요.
✅ 실업급여 수급 기본 요건
조건 | 기준 |
고용보험 가입기간 | 최근 18개월 중 180일 이상 가입 ✅ → 확인하셨으니 통과! |
퇴사 사유 | 비자발적 퇴사 (권고사직·해고 등) 또는 정당한 자발적 퇴사 사유 |
실업 상태 | 현재 근로하지 않는 상태여야 함 |
구직활동 의지 | 실업급여 신청 후 적극적인 구직활동 증빙 필요 |
✅ 질문자님의 상황 요약
작년 6월~올해 초까지 주 5일 근무 + 고용보험 180일 이상 → ✅ 충족
이후 3개월간 4대보험 미가입 알바 → ❌ 고용보험 없음 → 실업급여 산정에 영향 없음
9월쯤 퇴사 예정 → 퇴사 사유가 명확하다면 ‘신규 실업 인정일’ 가능성 있음
핵심 포인트: 고용보험 가입 근무를 마지막으로 ‘실업 상태’ 인정받을 수 있느냐
✔ 9월 퇴사 후에도 실업 상태임을 증빙하면 실업급여 수급 가능성 높습니다.
✔ 단, 퇴사 사유가 자발적 퇴사인 경우에는 “정당한 사유” 인정이 필요합니다.
✅ 실업급여 신청 팁
구직등록 먼저: 워크넷(www.work.go.kr)에서 구직신청 등록
고용보험센터 방문/교육 이수
실업인정일 설정 후 신청 진행
직전 고용보험 가입 이력 기준으로 심사됨
실업급여 조건·신청 절차·예외사항까지 총정리된 자료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 정리하자면
항목 | 판단 |
고용보험 180일 이상 | ✅ 충족 |
최근 알바 4대보험 미가입 | ❌ 수급 이력에 영향 없음 |
9월 퇴사 이후 실업 상태 인정 가능? | ✅ 가능성 높음 (신청 시 입증 필요) |
필요 조치 | ① 퇴사 시기 기준 구직등록 ② 실업인정 교육 이수 ③ 실업급여 신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