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승무원 남녀차별 왜 승무원은 대부분 여자만 뽑나요? 남자 승무원이라고 없는건 아니지만 거의

왜 승무원은 대부분 여자만 뽑나요? 남자 승무원이라고 없는건 아니지만 거의 7대3비율로 여자만 우대하고 뽑잔아요승무원도 공무원 아닌가요?체력적으로도 진상대처로도 남자 승무원이 더 나을텐데도대체 어쩌다가 승무원이 여성우대직으로 변한건가요.

승무원의 성비 불균형에 대한 의문과 남자 승무원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이시군요. 충분히 문제 제기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현재 승무원 채용에서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은 여러 사회적, 역사적 배경이 얽혀 있어서 그래요.

1. 승무원은 공무원이 아닙니다.

우선, 승무원(객실 승무원)은 공무원이 아닙니다. 항공사에 소속된 사기업의 직원입니다. 따라서 공무원 채용 절차와는 다릅니다.

2. 승무원이 '여성 우대직'이 된 배경

역사적으로 승무원은 주로 여성의 역할로 자리 잡았습니다.

  • 초기 간호사 이미지: 항공 초창기, 승무원은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이미지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섬세하고 친절한 보살핌이 필요한 역할이라는 인식이 강했죠.

  • 서비스직과 미적 기준 강조: 1960년대 이후 항공산업이 성장하면서 승무원의 역할은 '서비스직'으로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이때 항공사들은 '젊고 예쁜 여성'을 승무원으로 고용하는 것을 마케팅 수단으로 적극 활용했어요. 이는 서비스의 질뿐만 아니라 외적인 이미지까지 중요한 요소로 강조하면서 '여성에게 더 적합하다'는 인식을 심었습니다.

  • 사회적 성 역할 인식: 오랜 기간 동안 여성에게 '친절함', '상냥함', '돌봄'과 같은 서비스적인 역할이 더 어울린다는 사회적 성 역할 인식이 강했습니다.

  • 지원자 성비: LCC(저비용항공사) 업계에 따르면, 애초에 객실 승무원에 남성이 적은 이유는 지원율 자체가 저조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지원하는 남성 자체가 적으니 뽑는 비율도 낮아질 수밖에 없는 측면도 있습니다.

3. 남자 승무원이 적은 현실과 개선 노력

현재도 여성 승무원의 비율이 훨씬 높은 것이 사실입니다. 남자 승무원이 체력적으로나 위기 대처 능력 면에서 더 나은 점이 많다는 지적은 계속해서 나오고 있어요. 실제 직무 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이성 간 의사소통 능력의 차이, 동료 간 관계 갈등, 위계적 조직 문화, 역할 과부하, 성 역할 갈등 등이 남성 승무원에게 미치는 영향이 언급되기도 했습니다.

최근에는 항공사들도 성별에 관계없이 채용 기준을 적용하고, 성비 균형을 맞추기 위한 노력들을 하고 있습니다. 성비 불균형 해소를 위한 '25by25' 캠페인과 같은 움직임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오랜 기간 동안 굳어진 '승무원=여성'이라는 인식과 그로 인한 지원자 성비의 격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변화하는 데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비단 승무원 직무뿐만 아니라, 조종사와 같이 성비 불균형이 심한 직군(조종사는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음)에서도 비슷한 사회적 인식 문제가 나타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