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자동차 분야에서 역학과 코딩 역량을 모두 요구하는 직무는 무엇이 있을까요? 제 학과가 자동차it융합학과인데 이 학과는 역학30% 코딩40% 전자30%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어

제 학과가 자동차it융합학과인데 이 학과는 역학30% 코딩40% 전자30%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무언가 하나를 심화해서 배우는게 아니고 넓고 얕게 배워서 전공의 교육과정을 다 마친다고 해도 한가지의 분야만 배우는 학과 학생들에게 전문성 부분에서 밀려 취업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소프트웨어를 부전공하고 학과 내에 있는 4대 역학과목을 최대한 들어서 역학과 코딩에 대한 역량을 최대한으로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갖추고자 합니다. 이때 역학과 코딩의 역량을 모두 요구하는 직무는 무엇이 있을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 그 직무에 맞는 과목은 무엇이 있을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주신 내용을 보니, 현재 학과 커리큘럼에 대한 고민과 미래 진로에 대한 명확한 계획이 있으신 것 같아 저도 진심으로 응원하는 마음이 듭니다.

자동차 분야에서 역학과 코딩 역량을 모두 요구하는 직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 역학과 코딩 역량을 모두 요구하는 주요 직무

1.자율주행/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알고리즘 개발자

주요 업무: 차량의 주행 환경 인지(센서 데이터 처리), 주행 경로 계획, 차량 제어(조향, 가감속) 알고리즘 개발.

역학 필요성: 차량 동역학(Vehicle Dynamics) 이해를 바탕으로 차량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안정적인 제어를 위한 로직을 설계해야 합니다.

코딩 필요성: C++, Python 등을 활용한 알고리즘 구현, 센서 퓨전, 임베디드 시스템 프로그래밍, 머신러닝/딥러닝 모델 개발 및 적용.

관련 과목:

역학/제어: 동역학, 자동차 동역학, 제어공학, 센서 공학

코딩: 자료구조/알고리즘, C++/Python 프로그래밍, 임베디드 시스템, 실시간 운영체제(RTOS), 컴퓨터 비전, 머신러닝/딥러닝

2.차량 동역학 제어 시스템 개발자 (ESC, ABS, 서스펜션 제어 등)

주요 업무: 차량의 주행 안정성 및 승차감 향상을 위한 제어 시스템 개발. 예를 들어, 전자식 자세 제어(ESC),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BS), 능동형 서스펜션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역학 필요성: 차량의 운동 방정식을 이해하고, 타이어-노면 상호작용, 현가장치의 움직임 등 복잡한 역학적 현상을 분석하여 제어 로직을 만듭니다.

코딩 필요성: MATLAB/Simulink를 활용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C/C++ 기반의 임베디드 제어기 소프트웨어 구현, 제어 알고리즘 최적화.

관련 과목:

역학/제어: 동역학, 자동차 동역학, 제어공학(특히 디지털 제어), 진동학

코딩: MATLAB/Simulink, C/C++ 프로그래밍, 임베디드 시스템, HIL/SIL 시뮬레이션

3.파워트레인 제어 시스템 개발자 (특히 xEV: 전기차/하이브리드)

주요 업무: 내연기관, 모터, 배터리, 변속기 등 파워트레인 전반의 효율성 및 성능 최적화를 위한 제어 시스템 개발. 특히 전기차 시대에는 모터 및 배터리 제어가 중요합니다.

역학 필요성: 열역학, 유체역학(냉각 시스템), 동역학(모터/엔진 구동), 전기전자 회로 및 전력전자 지식을 바탕으로 에너지 흐름과 효율을 이해해야 합니다.

코딩 필요성: 임베디드 시스템 기반의 제어기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 기반 개발(MBD) 환경에서의 제어 로직 구현, 진단 및 고장 안전 로직 코딩.

관련 과목:

역학/전기전자: 열역학, 유체역학, 전기전자회로, 전력전자, 배터리 공학

코딩: C/C++ 프로그래밍, MATLAB/Simulink, 임베디드 시스템, 제어공학

4.HIL/SIL 시뮬레이션 및 모델 기반 개발(MBD) 엔지니어

주요 업무: 하드웨어 인 더 루프(HIL)나 소프트웨어 인 더 루프(SIL) 환경에서 차량 시스템 모델을 구축하고, 제어 알고리즘을 검증하며, 실제 개발 과정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역학 필요성: 실제 물리 시스템(차량, 엔진, 서스펜션 등)을 수학적 모델로 정확하게 구현하려면 4대 역학을 포함한 깊은 역학적 지식이 필수적입니다.

코딩 필요성: MATLAB/Simulink, Python, C++ 등을 활용하여 복잡한 시스템 모델을 구축하고, 시뮬레이션 환경을 설정하며, 테스트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관련 과목:

역학: 4대 역학(특히 동역학), 시스템 모델링, 제어공학

코딩: MATLAB/Simulink, C++/Python 프로그래밍, 데이터 구조/알고리즘, 시뮬레이션 기법

---

### 마무리 조언

학과 커리큘럼이 '넓고 얕게' 느껴지실 수 있지만, 이런 융합적인 지식은 위에서 언급한 직무들에서 시스템 전체를 이해하고 통합하는 데 매우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이러한 직무들은 단순히 한 분야의 전문가보다는 여러 분야의 지식을 연결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시스템 엔지니어' 역량을 높이 평가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다시 질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