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간호사 7년차 아들이 있는 아저씨 입니다.
인서울에는 임상병리학과는 개설된 곳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고 보건계열학과는 삼육대에 물리치료학과 뿐 이고 간호학과는 개설된 곳이 많습니다.
1. 임상병리사가 되고 싶은 중3인데 뭘 해야 하나요?
인문계고 진학, 성적이 좋으면 좋을수록 대학교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구조 입니다.
예체능을 제외한 과목은 성적이 좋으면 좋을수록 좋지만 아무래도 국어, 영어, 수학, 과학과목(생명, 화학)의 성적이 좋으면 더욱 좋습니다.
그외 별도 필요한 부분 없습니다.
2. 고등학교 가서 어느 공부를 해야하나요? 그 외에는 또 뭘 해야 할까요?
인문계 가서 최소한 20~30% 이내는 들어가야 4년제 임상병리학과 가능권이고 전문대 임상병리과(3년제)라고 가고자하면 중간 이내는 들어가야 합니다.
위에서 얘기한대로 공부하면 되고 컴관련 , 회계관련 자격 등 아무런 것도 필요 없습니다.
대학 입시를 위해서는 1항, 2항 대로 공부하면되고 대학과정에선 영어, 생명, 화학이 집중으로 활용 됩니다.
3. 임상병리학과 가려면 어느정도로 공부 잘 해야 하나요?(내신이랑 수능 등급이요)
a - 위 설명한대로 인지도 높은 대학교 임상병리학과는 9등급 체제에서 2.00~2.50 정도 그리고 인지도 낮은 지방전문대 임상병리과는 5.00~5.50 등급대에서도 합격 가능한곳 나올듯 싶습니다.(인문고 기준)
수능 등급도 수시내신 등급과 유사한 수준의 등급이면 가능권 입니다.
b - 특성화고 졸업자는 입학을 허용하지 아니하는 대학교도 있고 일반 4년제 인지도 높은 곳은 수시 내신등급이 1.00부터 2.00선 전후는 기록해야 가능하고 전문대라도 해도 3.00내는 기록해야 할 것으로 추정 됩니다.
c - 예 : 아저씨의 친구 딸애가 특성화고(정보고) 내신이 1.00였는데 일반 4년제 임상병리학과 입학, 대학공부를 못따라가서 결국 자퇴하고 타 대학교 일어일문학과로 신입학 졸업하는 경우를 봤습니다.
d - 특성화고 출신이 간호 및 보건계열 입학, 영어, 생명, 화학 등에서 고전, 또 고전을 하여 적응에 매우 힘들어 하는 경우가 괘 있음, 특성화고 재학 중 영어공부 및 생명, 화학 등도 따로 공부를 해둬야 간호 및 보건계열학과에 입학하더라도 이상없이 졸업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