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보복운전 및 특수협박죄 안녕하세요저는 오토바이 운전자 입니다오토바이로 3차선 정상주행을 하는도중2차선 택시가 깜빡이 키자마자

안녕하세요저는 오토바이 운전자 입니다오토바이로 3차선 정상주행을 하는도중2차선 택시가 깜빡이 키자마자 들어와서제가 들어오지말라고 크락션길게울렸는데도 들어왔습니다 바로옆으로 빽미러 안보고 들어와 박을뻔했습니다그래서 저도 그 택시 한테 사과받을라고 쫒아가다그택시 앞에서 3-4번 앞에서 멈추고신호등 빨간불에 오토바이 에서 내려서택시한테 사과받을라고 노크를 했는데 택시가 바로경찰에 신고를했습니다 그래서 제가 경찰에 신고했냐니깐했다 해서 갓길에 대고 경찰한테 서로 상황 얘기하고갈길갔습니다이사람이 보복운전 으로 신고한다하고 간다하는데보복운전으로 신고가 될까요욕설이과 대화는 일절 안했습니다근데 이택시도 제가 앞에 끼어들때 마다 풀악셀로제 바로 뒤로와서 계속 진짜 박을뻔 하긴했는데이분이 신고하여서 경찰조사를 가야 하는데 다음주에너무 어이가없고 화도 나내요이게 성립이되면 어떻게되는건가요

오토바이 운전 중 겪으신 일로 많이 당황스럽고 화가 나실 것 같습니다.

보복운전 및 특수협박죄 성립 가능성 검토

1. 보복운전죄 성립 가능성

보복운전은 주로 '특정 범죄를 반복하여' 상대방에게 '공포심이나 불안감을 야기' 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개념으로 통용되곤 합니다.

  • 성립 요건: 보복운전은 도로교통법상의 위반 행위가 아닌, 형법상 특수폭행, 특수협박, 특수손괴, 특수감금 등의 죄명으로 처벌됩니다.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운전 중의 사소한 시비 등 감정적인 이유로 상대방에게 고통을 가할 목적으로 자동차를 이용하여 위협하거나 공포심을 유발하는 일련의 행위"가 이에 해당합니다.

  • 질문자님의 행위 검토:

  • "그 택시 앞에서 3-4번 앞에서 멈추고" : 차량(오토바이)을 이용하여 상대방 차량의 진로를 방해하거나 급정거하게 만드는 행위는, 상대방에게 공포심이나 위협을 줄 수 있는 특수협박이나 특수폭행(위험한 물건인 자동차를 이용한 폭행)의 수단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3~4회 반복되었다는 점은 '반복성' 또는 '일련의 행위'로 해석될 여지가 있습니다.

  • 택시 기사님의 행위 검토:

  • "이택시도 제가 앞에 끼어들때 마다 풀악셀로 제 바로 뒤로와서 계속 진짜 박을뻔 하긴했는데": 택시 기사님 역시 질문자님 차량의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않고 급가속하여 위협을 가한 행위가 있었다면, 기사님에게도 보복운전의 혐의가 적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경찰 조사 시 이 부분을 적극적으로 진술하셔야 합니다.

2. 특수협박죄 성립 가능성

특수협박죄는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여 사람을 '협박' 했을 때 성립하며, 자동차(오토바이 포함)는 판례상 '위험한 물건'에 해당합니다.

  • 성립 요건: 상대방에게 해악을 고지하여 공포심을 느끼게 해야 합니다.

  • 질문자님의 행위 검토:

  • 운전 중 행위: 3~4번 앞에서 멈춘 행위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차량이라는 위험한 물건을 이용한 협박이나 폭행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하차 후 행위: 신호 대기 중 오토바이에서 내려 택시에 노크한 행위 자체만으로는 협박으로 보기 어려울 수 있으나, 노크 전후의 운전 행위와 결합하여 전체적인 맥락에서 위협적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욕설이나 물리적인 접촉(폭행)이 없었다는 점은 방어 논리가 될 수 있습니다.

경찰 조사 시 대처 방안

다음 주 경찰 조사에 대비하여 다음 사항들을 준비하시고 적극적으로 소명하셔야 합니다.

  1. 1) 사건의 시작을 명확히 진술: 택시가 방향지시등을 켜자마자 들어와 충돌할 뻔한 것이 사건의 발단이며, 이로 인해 사과를 받기 위해 쫓아간 것임을 명확히 하십시오. 보복 목적이 아닌 '사고 방지 및 사과 요청'이 주된 목적이었음을 강조해야 합니다.

  2. 2) 택시 기사의 위협 행위 진술: 택시 기사 역시 질문자님의 오토바이 뒤로 풀악셀로 급접근하는 등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를 반복했음을 구체적으로 진술하여, 쌍방의 위협 운전이었다는 점을 주장하고 기사에게도 혐의가 있음을 주장해야 합니다.

  3. 3) 고의성 및 반복성 부인: 앞에서 멈춘 행위가 있었더라도, 이는 상대방에게 일방적인 위해나 공포심을 주려는 '보복 목적'이 아니라, '대화 및 사과를 요청하기 위한 정지 행위'였음을 강조해야 합니다. 또한, 그 행위가 상대방에게 심각한 위험이나 공포를 줄 정도는 아니었음을 주장해야 합니다.

  4. 4) 객관적 증거 확보: 오토바이에 블랙박스 영상이 있다면, 택시의 갑작스러운 끼어들기와 기사의 풀악셀 위협 운전, 그리고 질문자님의 정지 행위 전반을 담고 있는 영상을 증거로 제출해야 합니다. 증거는 질문자님에게 유리한 부분이 분명히 있을 수 있습니다.

성립 시 처벌 수위

만약 보복운전 혐의가 인정될 경우, 형법상 특수협박 또는 특수폭행 등으로 처벌받게 됩니다.

  • 특수협박죄: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 특수폭행죄: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보복운전은 초범이고 피해 정도가 경미하면 벌금형으로 약식기소되거나 경우에 따라 기소유예 처분을 받기도 하지만, 사안의 경중에 따라 정식 재판에 회부될 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질문자님의 행위는 택시 기사가 신고한 대로 '보복운전'으로 의율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으나, 택시 기사의 위협 운전이 사건의 발단 및 전개 과정에 영향을 주었으며 질문자님의 행위에 '명확한 보복 목적'이 없었음을 증명한다면 혐의를 벗어나거나 처벌 수위를 낮출 수 있습니다.

경찰 조사 전 블랙박스 영상을 분석하고 변호사와 상담하여 진술 방향을 잡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법률 관련 문의는 언제든지 전화 주시면 성심성의껏 도와드리겠습니다.

​"법무법인 아이엠 법률 상담 전화번호 1551 - 8678"

https://blog.naver.com/1jaemmy1